티스토리 뷰
당뇨환자가 피해야 할 과일 5가지
당뇨병은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질환으로, 식이 요법이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에요. 과일은 비타민, 미네랄, 식이 섬유 등 건강에 좋은 영양소를 공급해주지만, 당분이 많아 혈당을 올리기도 해요. 따라서 당뇨환자는 과일을 먹을 때 주의해야 하고, 특히 혈당 지수가 높은 과일은 피해야 해요. 혈당 지수란 음식을 먹은 후 혈당이 얼마나 빨리 오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혈당 지수가 높은 음식은 혈당을 급격하게 올려 당뇨병의 합병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당뇨환자가 피해야 할 혈당 지수가 높은 과일 5가지를 소개하고, 그 이유와 대체할 수 있는 과일을 알려드릴게요.
1. 샤인머스캣
샤인머스캣은 최근 인기 있는 과일로, 포도의 깊은 맛과 영양이 풍부해요. 하지만 샤인머스캣은 당도가 매우 높아 혈당을 빨리 올려 당뇨환자에게 좋지 않은 과일이에요. 샤인머스캣의 당도는 20~25도로, 일반 포도의 2배 이상이에요. 샤인머스캣의 혈당 지수는 72로, 중간 정도에요. 하지만 샤인머스캣은 한 번에 많이 먹기 쉬운 과일이라, 혈당을 급격하게 올릴 수 있어요. 샤인머스캣 대신에 혈당 지수가 낮은 딸기나 블루베리를 먹는 것이 좋아요.
2. 자두
자두는 식이 섬유,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한 과일로, 건강에 좋아요. 하지만 자두는 당분 함량이 많아 혈당을 빨리 올리기 때문에 당뇨환자에게 좋지 않은 과일이에요. 자두의 혈당 지수는 55로, 낮은 편이에요. 하지만 자두는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100g당 11.4g이에요. 탄수화물은 몸 안에서 당분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자두를 많이 먹으면 혈당을 올릴 수 있어요. 자두 대신에 혈당 지수가 낮고 탄수화물 함량이 적은 살구나 레몬을 먹는 것이 좋아요.
3. 골든 키위
골든 키위는 비타민 C, 미네랄, 칼륨 등이 풍부해서 몸 안의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어요. 하지만 골든 키위는 당분 함량이 많기 때문에 식후 혈당을 빨리 올려 당뇨환자에게 좋지 않은 과일이에요. 골든 키위의 혈당 지수는 58로, 낮은 편이에요. 하지만 골든 키위는 단 맛이 강하고, 100g당 15.8g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어요. 골든 키위 대신에 혈당 지수가 낮고 단 맛이 적은 그린 키위를 먹는 것이 좋아요.
4. 백도 복숭아, 황도 복숭아
복숭아는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몸 안의 노폐물을 배출해주고 몸의 붓기를 빼주는 효능이 있어요. 하지만 백도 복숭아, 황도 복숭아는 천도 복숭아보다 단 맛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 당뇨에 좋다고 말하기 어려워요. 당분 함량이 많은 백도 복숭아, 황도 복숭아는 혈당을 빨리 올리기 때문에 당뇨에 좋지 않은 과일이에요. 백도 복숭아, 황도 복숭아의 혈당 지수는 42로, 낮은 편이에요. 하지만 백도 복숭아, 황도 복숭아는 100g당 9.5g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어요. 백도 복숭아, 황도 복숭아 대신에 혈당 지수가 낮고 단 맛이 적은 천도 복숭아를 먹는 것이 좋아요.
5. 파인애플
파인애플은 식이 섬유가 풍부해서 포만감이 좋은 과일로 잘 알려져 있어요. 단백질을 분해 시키는 효소가 있는 파인애플은 식후에 먹으면 소화를 잘 되게 해줘요. 하지만 파인애플은 단 맛이 강하고 당분 함량이 많아서 식후 혈당을 올리고 고혈당을 유지하는 당뇨에 좋지 않은 과일이에요. 파인애플의 혈당 지수는 66으로, 중간 정도에요. 하지만 파인애플은 100g당 13.1g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어요. 파인애플 대신에 혈당 지수가 낮고 단 맛이 적은 아보카도나 토마토를 먹는 것이 좋아요.
결론
당뇨환자는 과일을 먹을 때 혈당 지수와 탄수화물 함량을 확인하고, 적절한 양을 조절해야 해요. 혈당 지수가 높고 탄수화물 함량이 많은 과일은 혈당을 급격하게 올리고 고혈당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해요.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차와 저혈압: 건강에 이로운 조화 (0) | 2023.12.29 |
---|---|
당뇨환자가 먹어도 좋은 과일 5가지 (0) | 2023.12.29 |
녹차와 혈압: 건강에 미치는 영향 (0) | 2023.12.29 |
당뇨환자를 위한 금기과일: 건강을 위한 올바른 선택 (0) | 2023.12.28 |
모발 이식 수술은 많이 아프나요? (0) | 2023.12.27 |